반응형


6월 10일 민주항쟁기념일

 

민주항쟁은 1987년

전두환 전 대통령이 발표한 4.13호 헌조치 발표 후에
재야와 통일민주당이 연대해

6월 민주항쟁의 구심체인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를 만들고,
그해 6월10일을 정점으로

20일동안 전국으로 확산된
민중항쟁,민주화운동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4.13호 헌조치는

대통령간선제를 요체로 하는

기존의 헌법을 고수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반대하는 국민들의 여론이

확산되는 와중에

5월18일 대학생 박종철군의 고문살인사건이

기폭제가 되어
6월 민주항쟁의 본격적인

움직이 시작됩니다.

 

 


1987년1월14일

부산출신 서울대생 박종철의

의문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박군의 죽음을 독재정권이 자행한

민주화세력에 대한 살인행위로

규정한 시민과 ‘민주시민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재야인사들은 박종철 추도집회를 준비하며

독재정권에 대한 전면적 항쟁의 신호탄을 올렸다.


2월 7일에는

박종철 군의 추도집회가 열리고,

3월 3일에는

박종철군 추모 3.3 부산대행진이 열렸다.

 

 

 


‘2.7’, ‘3.3’ 집회를 거치면서

경찰의 폭압적인 시위대 진압을 목격한

시민들은 전두환 정권의 폭력성과 무자비함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민주세력의 강력한 후원자로

민주화운동의 전면에 나서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때  상인들은 영업에 막대한 지장이 있음에도

시위대를 숨겨주고 전두환을 쫓아내라고 격려했다.

 

거듭되는 민주화 요구에

위기의식을 느낀 전두환 정권은

‘4.13 호헌조치’를 발표, 국면전환을 시도했으나,

이것은 항쟁의 용광로에 기름을 붓는 것이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5월 20일 전국에서 가장 먼저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 부산지부’가 결성되어

부산지역 6월 항쟁을 이끌었다.

전국적으로는 산발적인 시위가 일어났고,

여기에 시민들이 시위대에 가세하면서

6월 항쟁은 본격화되었다.


하지만 16일 서울의 ‘명동성당 농성’이

정부와의 타협으로 인해 해산되자

전국적 시위 열기도 식어 가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우리 지역에서는 6월 16일 심야시위 도중

경찰에 밀린 시위대가 가톨릭센터로 피신하여

‘가톨릭센터 농성’을 전개하면서

6월 항쟁의 새로운 구심점으로 자리를 잡고,

이는 항쟁의 열기가 식어가던

다른 지역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던 것이다.

 


6월 항쟁은 한국 현대사의 큰 분수령이었다.

물론 4.19나 5.18 등등 분수령이 많았지만

6월 항쟁은 군사독재와 싸워 이겼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온 일대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6월 항쟁은 군사정권에서 문민정권으로,

독재에서 민주로 그리고 개발과 성장 중심에서

분배의 조화와 삶의 질을 고민하는 단계로

나아가는 분수령이었다.


이운동으로 전두환정권은

국민의 민주화 요구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6월 29일 군사독재의 종식을 알리는

선언을 발표합니다.


6.29선언을 통해 직선제 개헌과 평화적 정부이양,

대통령 선거법개정,

김대중의 사면복권등의 내용이 다뤄지게 됩니다.


이후,

5년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하는

 9차 헌번 개정으로

제6공화국이 탄생하였습니다.

반응형

'관심사 > 국가기념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달과 윤년에 대해서  (0) 2017.06.07
24절기중 열번째 하지  (0) 2017.06.07
현충일  (0) 2017.06.04
아홉번째 절기 망종  (0) 2017.06.03
환경의 날  (0) 2017.06.02
반응형

 

<<방재의날>>

매년 5월 25일 자연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교육과 홍보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기념일.

 

《세계 방재의 날》: 매년 10월 둘째주 수요일
 유엔은 1989년 12월 22일 총회에서
1990년도를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10개년(1991∼1999)
계획기간(IDNDR)으로 정하고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해
매년 10월 둘째주 수요일을
세계 자연재해 경감의 날로 지정
각국에 권고 하였다.
동참나라 : 미국, 호주, 인도, 중국, 영국,
태국, 프랑스, 독일, 페루,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에콰도르, 니카라과 등

 

《한 국》: 매년 5월 25일
1991년 9월 17일 우리나라의
유엔가입과 함께 다각적인 국제협력사업에 따라
각종 방재정책 기능강화 필요성이 인식되어
1990년 IDNDR(국제 재해경감 10개년 계획)에서
권고된 세계 재해경감의 날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1994년부터 재해예방적 차원에서
우기철 이전인 5월을
재해예방법에 대한 국민의 의식을 높이고,
방재훈련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제정하였으며,
1995년 자연재해대책법 전문 제정에 따라
법적(자연재해대책법 제23조)으로 명시하였다.
주요행사 내용으로는
방재행정세미나, 방재시범훈련,
재해 예방 캠페인, 재해위험지구 및 방재시설 점검·정비,
재해참상 및 복구관경 사진전시회, 재해예방 포스터 공모전 등
행정자치부 및 지방자치단체와 유관기관 등에서
다채로운 재해예방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일 본》: 매년 9월 1일
1959년 『이세만 태풍 : 사라호』이
9월 26일에 발생하여 태풍에 의한 최대의 피해를 기록
이 태풍 이후 재해대책기본법을 제정
현재의 방재체계의 틀이 만들어 졌다.
(유실가옥 : 1만호, 사망 : 1,100명, 부상 : 38,000명 이상)

따라서 1959년 태풍피해를 계기로
1960년에 니하구 도우까의 시기가 되는
9월 1일을 방재의 날로 정하고 재해예방 등에
대한 많은 실제훈련 행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참고로, 일본은 8. 30∼9. 5기간을 방재의 주,
1. 15∼1. 21기간을
방재 및 자원봉사자의 주로 지정 운영하고 있다.
니햐쿠 도오카란 입춘
(음력 1월 22일, 양력으로는 보통 2월초순경)으로부터
210일째 되는 시기에 태풍이 많이 발생하는 것에서
생긴 말로 9월 초순경이 니하구 도우까의 시기가 된다.

 

《캐나다》매년 5. 6∼5.12(재해예방의 주)
1995년도에 캐나다의 재해예방 원칙 및 체계를
국민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매년 개최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착안되었다.
재해예방의 주는 긴급사태에 대한 예방에 관한
경각심을 증가시키고 캐나다에서
긴급사태가 어떻게 관리되어지고 있는 가를 설명한다.

 

 


《필리핀》: 매년 10월 둘째주 수요일
 유엔의 IDNDR(국제 재해경감 10개년 계획)의
권고에 따라 매년도 10월 둘째주 수요일을
방재의 날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또한, 매년 7.1∼7.7기간을 재해경각의 주로 지정하고 있다. 
 

반응형

'관심사 > 국가기념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의 날  (0) 2017.05.28
단오  (0) 2017.05.25
세계인의날  (0) 2017.05.18
발명의날에도 세종대왕님이 보이네요~  (0) 2017.05.18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영화화려한휴가내용 & 문대통령기념사  (0) 2017.05.18
반응형

 

발명의날

매년 5월 19일

 

 

발명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발명의욕을 복돋우기위한 기념일

 

1957년 5월19일 상공부가
제1회 발명의날 기념행사를 시작했습니다.

1982년 5월 19일에 제17회 발명의 날 행사를
한국발명특허협회의 주관으로 개최하였고
그 뒤 이 행사를 민간주도로 행하여 오다가
<발명보호법>을 <발명진흥법>으로 재정하여
발명진흥을 위한 기념행사를

정부주도로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5월19일로 정한 이유에는
측우기 발명일인 1441년(세종23) 4월29일이
양력으로 5월19일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얼마전 특허청 페친들이 뽑은 우리나라 최고 발명품으로
훈민정음이 선정됬는데요.


 

 

 

 

거북선,금속활자가 차례로 1위~3위에 올랐다고 합니다.
미리 선정한 발명품 25가지중
1인당 3가지씩 570명이 한 투표라고합니다.

그럼,여기서
훈민정음은 1443년 완성되었지만
반대하는 몇몇 양반들때문에
1446년 10월9일 반포되었습니다.

3년동안 용비어천가를 지어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널리 알렸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